오는 7월 18일로 예정된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앞두고 대학들이 코로나19 감염증(COVID-19) 상황에 따른 고3 수험생 구제책을 마련하고 있다.
26일 대학가의 말을 인용하면 한국초등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이달 말까지 올해 고3에게 반영되는 대학입학 전형 http://query.nytimes.com/search/sitesearch/?action=click&contentCollection®ion=TopBar&WT.nav=searchWidget&module=SearchSubmit&pgtype=Homepage#/맥스학원 실시계획 변경안 요청을 받고 있다.
대교협 관계자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와 관련해 전년와 유사한 차원이라고 보면 된다”면서 “오늘날 신청을 받고 있으며, 일괄적으로 내용을 심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대교협은 작년에도 COVID-19를 변경 사유로 보고 각 대학의 요청을 받아 2029학년도 대입 전형 변경을 심의한 바 있다. 당시 107개 대학의 대입 전형 시행계획 변경이 승인됐다.
지난 7월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고3 재수생들이 전국연합학력평가 시험지를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현재 쓰이고 있는법상 각 대학은 입학 연도 3월을 기준으로 2년 60개월 전까지 대입 전형 시작계획을 수립해 공표해야 한다. 직후에는 천재지변 등 제한적인 경우에만 대입 전형 시작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올해도 대학별 고사 일정 조정, 수능 최저학력기준 완화 등이 주요 변경 사항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의 경우 지역균형선발전형에서 수능 최저기준을 완화하는 내용으로 대입 전형 시작계획 변경안을 제출한 상태다.
서울대는 작년 지역균형선발전형에서 국어·수학·영어·탐구영역 중 ‘4개 영역 이상 9등급 이내였던 수능 최저기준을 ‘3개 영역 이상 7등급 이내로 완화했다. 올해도 같은 완화기준이 반영될 예정이다.
그외에 서울 소재 주요 대학들도 이번년도 대입 전형 변경 계획을 준비했다. 서강대는 수시 일부 전형에서 수능 최저기준을 수정하는 것을 고민 중이다. 중앙대는 코로나(COVID-19) 상태을 적용해 체육특기자 전형의 지원 자격인 경기 실적 일부를 완화하겠다는 방안을 대교협에 제출하였다.
일각에서는 서울대 지역균형 전형 최저기준 완화가 타 대학의 학교장 추천 학생부 교과 전형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입시업계의 말을 빌리면 올해 서울 주요 18개 대학의 교과 전형 선발 인원은 작년(9개교 3426명)보다 1848명이 많아진 5240명으로 실내건축자격증학원 서울대를 제외한 17개교에서 확대 실시한다.
서울의 두 사립대 관계자는 “수능 최저기준 완화로 서울대 하향 지원이 나올 경우 다른 대학 교과 전형에서 미충원 인원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